멀티콥터

[ 드론 만들기 ] R-XSR 송신기를 이용한 펌웨어 업그레이드

여행의책 2025. 5. 2. 17:22
반응형

제일 먼저 펌웨어 파일을 다운로드한다. [ 다운로드 링크 ]

페이지를 보면 "ACCESS FIRMWARE", "ACCST FIRMWARE" 두가지가 보인다.

이건 송신기에서 뭐를 지원하느냐에 따라 선택하면 된다.

송, 수신기의 통신 프로토콜 형식인데, "ACCESS"가 최신이고, "ACCST"가 구형이다. 구형이라고 나쁜 것은 아닌데, 최신게 좀 더 빠르다는 이야기니, 내 송신기(타라니스)가 지원하는 프로토콜을 선택하면 된다.

내 건 Taranis X9D Plus 구형이라 "ACCST FIRMWARE"를 선택해서 다운로드 받았다.

기왕 하는 거 최신 버전으로 다운로드해서 설치한다.

다운로드 받아 압축을 풀면 몇 개의 파일이 나온다.

파일을 살펴보면 뒷부분에 "FCC", "LBT"뭐 이런 글자가 보이는데, 이건 지역을 나타내는 표시이다.

우리나라는 "FCC"를 선택하면 된다.

그리고 "FPORT"라고 적힌 파일은 F.Port를 지원하는 펌웨어라는 말이다.

내가 R-XSR의 펌웨어를 업그레이드하려는 목적이 F.Port 때문이다.

원래는 R-XSR을 FC에 연결한때 신호선을 2개를 사용 하는데, 이걸 신호선 1개로 사용 할 수 있게 만들어준다.

사용할 신호선이 2개에서 1개로 줄여주는 것도 좋은데, 속도까지 빨라진단다. 안 할 이유가 없다.

어떤 파일을 사용할지 정했으니... 파일을 옮겨보자.

타라니스에 있는 SD Card를 PC에 연결하고 "RXSR-ACCST_2.1.1_FPORT_FCC.frsk"를 "FIRMWARE"폴더에 복사해 준다.

파일을 복사했다면 다시 조종기(타라니스)에 SD Card를 장착한다.

 

그리고 다음으로 해야 할 일은!!!

조종기랑 수신기랑 연결하는 일이다.

먼저 그림부터 보자!  [ 그림 출처 : https://blog.naver.com/qjrcksrna/221206466091 ]

 

그림에는 R-XSR이 아니라 XSR이라는 점이 다를 뿐 핀맵은 동일하다.

먼저 수신지 쪽을 보면 [ GND ], [ +5V ], [ S.Port ] 순으로 되어있는데. 송신기(타라니스)는 [ GND ], [ +5V ]의 순서가 바뀌어 있다.

 

여기서 주의할 점!!!

1. 송신기(타라니스) 전원이 꺼져 있는 상태에서 연결한다.

2. 신호전, 전원( GND, +5V )을 잘 확인하고 연결한다.

잘못하면 벽돌로도 쓸 수 없는 쓰레기가 될 수 있다.

 

내가 연결한 방법이다.

이렇게 연결하고, 송신기(타라니스) 전원을 켠다.

[ MENU ] 버튼을 길~게 눌러 설정 화면으로 진입 후 [ PAGE ] 버튼을 눌러 "SD CARD"페이지로 이동한다.

"SD CARD"페이지에서 [ +, - ] 버튼을 이용해 "FIRMWARE"폴더로 이동하면 "RXSR-ACCST_2.1.1_FPORT_FCC.frsk"파일이 보일 것이다.

"RXSR-ACCST_2.1.1_FPORT_FCC.frsk"파일을 선택하고 [ ENT ] 버튼을 살짝 길~게 누르면 송신기(타라니스)가 "뭐 할 거야??"라고 물어본다.

엥?? 근데. 뭔가 이상하다.

"Flash internal module" 이랑 "Flash external module"라는 메뉴가 있어야 하는데 안 보인다.

음... 내가 뭔가를 잘못했나?? 곰곰이 생각해보았지만... 특별할 게 없었다.

흠냐... 또 삽질 시작이구나 생각이 든다. 휴...

 

혹시나 하는 마음에 다른 버전의 펌웨어를 받아 보기로 한다.

좀 전에 다운로드 받은 페이지에서 "FW-RXSR-v2.1.0"을 다운로드 받아 압축을 풀어 보았다.

살펴보니, 버전만 다르고 똑같... 지가 않네!! ㅡㅡ;;

2.1.1 버전은 확장자가 ". frsk"이고, 2.1.0 버전은 확장자가 ". frk"이다.

엇비슷해 보이지만 확실히 다른 것이다.

"RXSR_ACCST_2.1.0_Fport_FCC.frk"을 송신기(타라니스) SD Card에 복사하고 다시 확인해보았다.

짜잔~~!! 메뉴가 나타 난다.

이 정도 삽질은  삽질 축에도 들지 않지만, "뭐든 한번에 넘어가는 게 없구나!!" 싶은 서글픔이 밀려든다. ㅠ.ㅠ

외부 모듈에 대한 펌웨어 업그레이드이기 때문에 두 번째 "Flash external module"를 선택하고 [ ENT ] 버튼을 살짝 길~~ 게 눌러준다.

오~~~ 쓰기 시작한다.

R-XSR에 이쁘게 LED도 반짝인다. ㅎㅎㅎ

업그레이드가 끝나면 송신기(타라니스) 전원을 끄고 연결된 케이블을 분리하면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