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있는 부품들만으로 기본 골격을 꾸미려고 한다.
먼저 FC의 레이아웃을 확인 한다.
1. FC와 PDB연결
2. PDB와 ESC연결
3. ESC와 모터 연결
4. FC와 수신기(R-XSR) 연결
5. FC에 부저와 LED연결
흠... 오늘 중으로 할 수 있으려나?? ㅡㅡ;;
배선도는 mateksys 홈페이지에서 따왔다. (출처 : https://www.mateksys.com/?portfolio=f722-std#tab-id-3 )
내가 가지고 있는 수신기가 R-XSR이라 배선을 정리해보겠다.
1. R-XSR 그라운드와 5V는 동일 하다.
( 그림에 보면 4v5에 5V를 연결하는데, Frsky 홈페이지에서는 3.5V ~ 10V로 나와있다. )
2. R-XSR의 SBUS out를 UART2 RX에 연결. (SBUS IN은 연결하지 않는다.)
3. R-XSR의 S.Port를 UART3 TX에 연결.
4. R-XSR의 F.Port를 사용하여 UART 포트를 절약한다.
일단 PDB에 연결되는것들 부터 작업해보자.
핀 할당 정보는 다음과 같다.
자~~ 이제 실제 조립을 해볼까 한다.
조립하기 전 한참을 고민했던것이 250급으로 해야하냐? 350급 이상으로 해야할까?? 이걸로 하루를 고민 했었다.
250급은 크기가 작아 장치들을 다 올릴수 있을까?? 하는 고민이 있었고, 350급이상은 프레임이나, 모터 등을 다시 구매해야 한다는 부담이 있어 고민이 많이 되었다.
머리 아프게 고민한 끝에 내린 결론은... 일단 집에 있는 장비로 하는데까지 해보자 였다.
여러가지 장비를 올리기에는 조금 작은 부분이 있지만 그래도 못 올릴 정도는 아니라고 생각하여 250급으로 정했다.
준비 해놓은 ESC도 올려 놓는다.
모터, ESC, PDB을 올려놓은 모습이다.
전공이 아니라 어설픈 실력에, 눈도 침침하여 오랜 시간 공들인 납땜 작업 이였다.
외부 기기와의 정비성을 고려하여 FC에는 핀을 납땜하여 조립 하였다.
오늘의 마지막으로 수신기 까지 연결한 모습이다.
아직 GPS, 라즈베리파이, 카메라등 몇가지 추가할 장치들이 있지만 일단 날리는데는 문제 없을 상태까지는 조립을 마친 상태이다.
이제 PC에 물려 이런 저런 셋팅하고 송신기(타라니스) 세팅 하는 방법을 알아봐야 할것 같다.
오늘은 여기까지~~~!!
'멀티콥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드론 만들기 ] expected version:2.2v0016 경고 (0) | 2025.05.02 |
---|---|
[ 드론 만들기 ] Throttle not idle 경고 (0) | 2025.05.02 |
[ 드론 만들기 ] R-XSR 송신기를 이용한 펌웨어 업그레이드 (0) | 2025.05.02 |
[ 드론 만들기 ] 타라니스 펌웨어 업그레이드 하기 (0) | 2025.05.02 |
[ 드론 만들기 ] 개념 정리 RSSI와 텔레메트리 (0) | 2025.04.30 |